태국 금융당국이 지난 주말 실시한 대규모 단속으로 약 300만 개의 은행 계좌가 한밤중에 동결되며 국내 온라인 판매업체와 일반 상인들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조치는 사기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대응 조치로 시행되었으며, 동시에 화폐 이체 한도도 대폭 제한된 상태다. 현재 일일 송금 한도가 1,300달러(약 180만 원)에서 5,500달러(약 760만 원) 사이로 축소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태국 사이버범죄수사국(CCIB)은 이번 조치가 범죄자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악용하여 자금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일반 사업자와 소규모 판매자들까지 피해를 입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본인도 모르게 사기 조직의 자금 흐름에 연루되어 계좌가 자동으로 동결되는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많은 무관한 시민들이 예상치 못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되었다.
태국 중앙은행(Bank of Thailand)은 “계좌 동결 조치가 범죄 예방에 필요한 것이지만, 이로 인해 더 많은 시민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책임자들은 계좌가 동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토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디지털경제사회부의 위싯 위싯소라앗(Wisit Wisitsora-at) 사무총장은 “국민 여러분께서는 당황하지 마시길 바라며, 계좌 동결이 이루어져도 보통 3일, 부득이한 경우 경찰의 개입이 7일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면 곧바로 해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코인(BTC)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고조되고 있다.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비트코인은 계좌 동결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탈중앙화 자산의 장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태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금융 계좌 통제로 인해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더욱 증가하는 분위기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금융 통제로 인한 불안과 불신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결국, 이 사건은 태국 소비자와 상인들 간의 신뢰를 해치는 요소가 되고 있으며, 중앙집중식 금융 시스템의 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금융 안정성과 부정행위 방지 간의 균형을 찾는 것은 앞으로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과 기업들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와 같은 대안적인 자산을 고려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이 사건의 여파는 향후 금융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