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 세척 소홀하면 건강 위험, 세균 급증 경고”

[email protected]



물을 담기만 하는 텀블러와 같은 재사용 가능 용기는 세척을 소홀히 할 경우 각종 세균으로 오염되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 AP통신은 물병을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는 이유와 효과적인 관리 방법에 대해 보도했다. 물병은 사용되는 과정에서 입과 손이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세균이 쉽게 유입되며, 제대로 씻지 않을 경우 곰팡이 및 다양한 미생물이 자생하는 서식지가 될 수 있다.

텀블러의 소재에 따라서도 세균 번식의 위험은 크게 다르지 않다.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대부분의 재질이 미생물 번식을 허용하며, 특히 플라스틱은 표면이 긁히기 쉬워 세균이 정착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오염된 물병을 사용 시 복통, 호흡기 알레르기 등의 다양한 증세가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최근 퍼듀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이 사용하던 물병 90개를 검사한 결과, 외부 표면은 세균 오염 기준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더럽혀져 있었고, 내부에서는 상당수의 샘플이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물병에 남아 있는 세균이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병 세척 시 손의 청결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지적한다. 입 안에는 약 500~600종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데, 물이나 음료를 마실 때마다 이 세균들이 병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손을 자주 씻지 않으면 대장균과 같은 분변 유래 세균도 함께 전파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타인과 물병을 공유할 경우 노로바이러스 등 감염병의 전파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세척 방법에 있어 전문가들은 단순히 물로 헹구는 것을 넘어 비누와 뜨거운 물로 병 안팎을 구석구석 세척할 것을 강조한다. 빨대나 패킹 부분은 반드시 분리해 세척하고, 세척 후 완전히 말리는 과정도 필수적이다.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활용하여 소독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 음료나 단백질 셰이크를 담은 경우 즉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가들은 “매일 기본 세척, 주 1회는 심층 세정”을 권장하며, 물병에 물을 오랫동안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물병에 물을 담아두는 것이 안전한지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 일부 전문가는 매번 새 물을 채울 때마다 남은 물을 버리라고 조언하며, 몇 시간 간격으로 물을 비우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 세균의 생존 및 증식을 막기 위해서는 오래된 물은 필히 제거해야 한다는 점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곰팡이나 악취가 발견된 경우에는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하며, 일회용 플라스틱병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은 화학물질이 용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부모님이나 친구와 공유할 때에도 위생적인 세척을 통해 건강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