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3시 기준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테더(USDT)에 대한 매수세가 두드러지면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거래량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중소형 코인들에서는 뚜렷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테더가 업비트와 빗썸에서 모두 가장 높은 순매수를 기록하며, 현금성 자산에 대한 투자자 선호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빗썸에서는 스페이스코드(SPK)가 큰 인기를 끌며 순매수 규모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리플(XRP)과 비트코인(BTC)도 뒤를 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안전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급등 종목에서는 스페이스코드(SPK)의 상승세가 주목받고 있다. 빗썸에서 거래되는 SPK는 전일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같은 거래소에 상장된 NFT도 상승률 상위권에 포함됐다. 업비트에서는 SPK가 두드러진 수익률을 나타내며 실적 기대감이나 특정 테마 이슈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하락 종목에 대한 분석은 다소 제한적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빗썸 상장 종목이 제외되었으나, 코인원에서 거래되는 QTCON과 PUFFER는 두 자릿수의 하락률을 기록하여 변동성을 증가시켰다. 이는 해당 종목들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과 단기 차익 실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거래대금 측면에서 보면, 업비트에서 XRP가 압도적인 거래량을 기록하며 선두를 차지했으며, 이더리움(ETH), 비트코인(BTC), 에나(ENA) 등 주요 종목들이 뒤를 이었다. 빗썸에서도 XRP가 거래대금 3위에 올라 활발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리플의 기술적 발전이나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보난자랩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방어적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특정 종목에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과 테더와 같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군으로의 거래 집중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 테마성 코인의 급등락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시장은 안정성과 성장을 추구하는 매수세가 스테이블코인과 일부 상승세를 보이는 코인에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는 무분별한 투자보다는 리스크 관리를 기반으로 한 선택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시장의 변동성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주의 깊은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