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 미국 국채 보유액 1,270억 달러로 증가…한국 제치고 세계 18위 기록

[email protected]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Tether)가 미국 재무부 채권 보유 규모에서 한국을 제치고 전 세계 18위에 올라섰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테더는 2025년 2분기 실사 보고서를 통해 미국 국채 보유액이 총 1,270억 달러(약 176조 3,0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1분기 대비 70억 달러(약 9조 7,300억 원)가 증가한 수치로, 테더의 채권 보유 규모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이번 보유액 중 1,055억 달러(약 146조 6,000억 원)는 미국 국채에 직접적으로 투자되었으며, 나머지 213억 달러(약 29조 6,000억 원)는 간접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써 테더는 5월 19일 독일을 제치고 19위에 올라선 이후 한국보다 더 많은 미국 국채를 보유한 18번째 주체가 되었다.

미 재무부의 국제자본통계(TIC)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은 1,242억 달러(약 172조 6,000억 원)로, 테더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테더는 다음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추격하고 있으며, 사우디의 보유액은 1,277억 달러(약 177조 5,000억 원)로, 두 국가 간 격차는 7억 달러(약 9,700억 원)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은 테더가 더 높은 순위로 올라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결과는 테더가 단순한 자산 보유 확대를 넘어 세계 금융시장 내에서 중요한 채권 보유 주체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테더는 자산의 투명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담보 자산 대부분을 미국 재무부 채권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안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막대한 이자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 테더의 입지가 더욱 커지고 있음에 따라, 규제 당국 또한 암호화폐 기업들이 전통 금융시장에 진입하는 경향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테더는 이번 분기 동안 49억 달러(약 6조 8,1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미국 국채 금리의 상승과 높은 보유액 덕분에 이뤄진 시즌 최대 규모의 수익으로 평가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