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 미국 규제 준수형 스테이블코인 ‘USAT’ 출시 발표…디지털 달러 경쟁 심화

[email protected]



테더가 최근 미국 내 규제 조건을 준수하는 신규 스테이블코인 ‘USAT’의 출시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와 함께 보 하인스(Bo Hines)를 미국 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하며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정치권에서는 우려와 논란이 일고 있다.

USAT는 최근 발의된 GENIUS 법안을 기반으로 설계된 디지털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기존의 테더(USDT)와 달리 해외에 의존하지 않고 미국 내에서 적법한 운영 체계를 갖춘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 테더의 준비금 구조는 약 1,690억 달러(약 234조 7,1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이런 구조가 법안의 요구와 상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테더는 비트코인(BTC), 금, 상업 대출 등의 다양한 자산을 준비금에 포함하고 있어 법안에서 제시하는 보수적 자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하인스의 CEO 임명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백악관 크립토 위원회에서 활동했던 인물이라는 점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그의 이직이 정치적 이해 충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논란이 크립토 규제 법안 논의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더욱이 테더는 과거에 준비금 관련 허위 진술 및 내부 거래 문제가 발생해 뉴욕주 검찰과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로부터 제재를 받은 전력이 있다. 이로 인해 테더의 이미지에 큰 타격이 발생하였고, 이번 USAT 출시에 대한 신뢰 구축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테더는 별도의 조직을 구성해 USAT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USAT는 자체 발행이 아닌 파트너십 기반의 유통 모델을 채택했으며, 첫 파트너로는 미국 내 유일한 디지털 자산 트러스트 뱅크인 앵커리지(Anchorage)가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현재 추가적인 트러스트 인가도 활발히 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흥미롭게도, 올해들어 테더는 130억 달러(약 18조 700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며 고수익 스테이블코인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제도권 진입을 위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