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관세 우려 속 인도 진출을 신중히 검토 중

[email protected]





테슬라의 CFO인 바이바브 타네자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실적 발표 전화 회의에서 인도 시장 진출에 관한 보고서를 확인하며, 인도는 “큰 중산층” 덕분에 진출할 좋은 시장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회사가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진입 시점을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는 테슬라에게 신중한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전기차 수입에는 70%의 관세와 30%의 사치세가 붙는다. 타네자는 이러한 높은 세금으로 인해 인도에서 판매되는 테슬라의 가격이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런 문제들이 긴장을 유발하므로, 우리가 언제 진입해야 할지 신중히 고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테슬라가 현지 제조 기지를 설립할 의향을 보이면서 진출 의사를 수긍한 상황이다. 하지만 보호무역 정책은 테슬라에게 장애물이 되고 있다. 타네자의 발언은 이달 초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기술 및 혁신 분야의 협력에 대해 논의한 직후에 나왔다.

또한 지난해 2월 머스크가 워싱턴 D.C.에서 모디 총리와 만남을 가진 뒤로 테슬라의 인도 진출에 대한 추측이 증폭되고 있다. 같은 달, CNBC-TV18에 따르면 테슬라는 독일 공장에서 생산한 전기차를 4월 중으로 인도로 수입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인도 정부는 제조업체가 현지화에 나설 경우 전기차 관세를 70%에서 15%로 낮추는 새로운 정책을 제안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이러한 정책 아래에서 가격 압박을 받을 것이고, 추가적인 정책 개혁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가 인도와의 잠재적 협상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다. 미국은 인도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미국-인도 무역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이 관세는 26%로 상승할 수 있다.

최근 JD 밴스 부통령이 인도를 방문하여 두 나라 간의 무역 협상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발언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 테슬라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자동차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감소하고, 순이익이 71% 급락했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테슬라는 인도 진출을 신중히 검토하는 한편,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