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화 ETF가 전통 금융에 미치는 영향…한국의 기회가 절실하다

[email protected]



최근 온체인 심포지엄에서 토큰화 ETF가 전통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됐다. 토큰화 ETF는 디지털 자산의 투자를 democratize하고, 커뮤니티 기반의 신뢰 및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10일 서울 강남의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개최되었으며, 주제는 ‘기관 도입, 토큰화 ETF 및 향후 10년’이었다. 글로벌 블록체인 비즈니스 위원회(GBBC)의 CEO 산드라 로, 바이낸스 APAC 디렉터 스티브 김, 카이코의 아담 모건 글로벌 지수 부문 책임자, 레이어3의 에이드리언 입 토큰 리드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산드라 로 CEO는 패널 토론을 통해 각 기업의 토큰화 ETF 채택 과정과 그 역할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토론을 시작했다. 에이드리언 입 리드는 “토큰화 ETF가 도입되면서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관 투자자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미 KKR과 해밀턴과 같은 대형 금융사들이 이러한 금융상품을 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큰화 ETF의 대중적 확산 과정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장벽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에이드리언 입 리드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는 대중의 투기적 접근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며 “정보 금융을 통해 실제 자산의 효용을 이해시키고, 더 나아가 투자를 민주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커뮤니티의 피드백이 중요한 이유로, “단순한 투기가 아닌, 커뮤니티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스티브 김 디렉터는 암호화폐의 채택 과정에서 규제의 명확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캐나다가 가장 먼저 ETF를 도입했지만, 미국의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그 영향력이 극대화되었다”고 설명하고, “ETF는 직접 투자 경로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기관과 개인 모두에게 매력적인 진입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2030년까지 토큰화 시장이 전통 금융 시장의 거래량을 초과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또한 그는 규제와 혁신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협력하여 업계 최초로 검증 가능한 준비금 개념을 도입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GBBC의 산드라 로 또한 규제의 명확성이 산업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 공감했으며, 이는 기회를 늘리고 산업 확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데이터의 중요성도 부각되었다. 아담 모건 책임자는 “ETF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벤치마크 레이트와 같은 확실한 데이터가 필수적이다”라며, “이는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기관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핵심적인 도구가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토큰화 ETF는 국채와 MMF와 같은 상품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며 토큰화의 확실한 장점을 강조했다.

한국 시장의 중요성과 잠재력도 언급됐다. 스티브 김 디렉터는 “한국은 매우 역동적이고 독특한 시장이며 리테일 참여율이 높기 때문에 규제가 마련되면 큰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담 모건 책임자는 “한국은 미국 시장과 경쟁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현재가 한국의 중요성을 논의할 최적의 시점이라고 확신했다.

에이드리언 입 리드는 정부 차원의 변화가 비트코인 채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산드라 로 CEO는 한국에 투자하고자 하는 외국 기관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규제가 명확해지면 외국인 투자 유입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온체인 심포지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