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의 절반은 TDF에 투자해야”… 오랜 시각에서 시장의 승자가 될 것

[email protected]



김종협 키움투자자산운용 멀티에셋운용본부장은 타깃데이트펀드(TDF)가 단순한 안전자산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상당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의 최소 50% 이상을 TDF에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며, TDF가 젊은 세대에게 충분한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덧붙였다.

TDF는 은퇴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자산 배분을 조정해주는 펀드로, 일반적으로 ‘안정형 상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나, 실제로는 위험자산에 대한 비중이 70~80%에 달하는 경우가 많다. 김 본부장은 젊은층을 위한 TDF 상품이 공격적인 투자 포지션을 차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퇴직연금에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더라도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출시한 ‘키움 키워드림 TDF 2065’를 예로 들어, 이 상품이 2065년을 은퇴 시점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상장 4개월 만에 누적 수익률이 15%에 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2040 빈티지 상품은 최근 4년 동안 수익률이 50%를 넘는 경우가 많다”며, TDF의 분산투자가 변동성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본부장은 젊은 투자자들에게 TDF를 코어로 삼고 상장지수펀드(ETF)를 세틀라이트로 사용하는 투자 전략을 제안했다. TDF를 60~70% 편입하고 나머지를 ETF나 개별 펀드로 조정하는 형태가 가장 현실적인 조합이라고 했다. 이는 퇴직연금과 같은 장기 자산에 있어 중심을 잡아줄 코어가 필수적이라는 그의 판단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그는 과도한 매매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투자자는 수익률보다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지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만약 코스피 지수가 70% 상승했는데 본인의 수익률이 40%라면, 실질적으로는 30%의 손실을 본 것처럼 전략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국내 TDF의 총 자산 규모는 20조원에 이르렀으며, 2034년에는 퇴직연금 적립금이 10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본부장은 “실적배당형 상품의 비중이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보며, 향후 5년간 TDF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퇴직연금 관리와 투자 전략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