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인투자자들의 국내 채권 순매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반면, 주식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의 국내 채권 순매수 규모는 5월 2조5235억원에서 6월 2조4310억원, 그리고 7월에는 2조346억원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주식 시장에서는 월 거래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며, 4월에는 약 14조원의 일평균 거래대금이 5월에는 15조원, 6월에는 22조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비우량 회사채 투자에서 이탈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iM증권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7월 개인의 비우량 회사채 순매수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친다. 이승재 iM증권 연구원은 “비우량 회사채의 주요 매수 주체였던 개인들이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다”며, “상반기 홈플러스 사태와 여러 건설사들의 기업회생 신청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주식 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난 25일에는 신용융자 잔액이 21조8309억원으로 2022년 6월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신용융자 잔액은 올해 초 15조6800억원에서 현재 7조원 가까이 늘어난 상태다. 코스피지수가 올해 들어 35%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 또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신용융자 증가에는 위험 요소도 내포되어 있다. 김인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리테일 투자자 중심의 신용융자 금액이 코로나19 팬데믹 동안의 고점인 25조원에 근접하면서 과열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며, “이는 변동성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탁매매 미수금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미수금은 증거금만으로 주식을 매수한 후 결제일까지 증권사에 빚진 자금을 의미하는데, 이 금액은 개인 매수세가 강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지난달 말 위탁매매 미수금은 1조원을 넘어섰고,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이 수준 이상에 도달했다.
결론적으로, 채권 시장에서의 자금 유출과 주식 시장으로의 온몸이 투자 심리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채권 시장의 개인투자자들이 점차 이탈하는 것과 반대로 주식 시장에서는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시장 흐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