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연관된 밈코인 발행사인 파이트 파이트 파이트(FFF)가 미국의 유명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리퍼블릭닷컴의 미국 사업부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유머와 농담으로 여겨지는 밈코인을 넘어 실질적인 결제와 투자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트럼프 측의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FFF는 리퍼블릭 인수를 위해 현재 협상 중에 있으며, 인수가 성사될 경우 트럼프 밈코인을 통해 거래를 활성화하고 암호화폐 스타트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담당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FF는 트럼프 밈코인의 활용처 확대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수수료를 지불할 때 밈코인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리퍼블릭닷컴은 개인 투자자부터 공인 투자자까지 폭넓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며, 주식 및 펀드와 같은 실물 자산을 토큰화한 다양한 증권도 제공하는 유력한 플랫폼이다. 이번 임무는 블랙록 등 대형 금융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차세대 금융 시장으로의 진입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는 밈코인 발행사가 실물 자산(RWA) 분야에서 영향력을 넓히려는 전략을 내포하고 있다.
트럼프 밈코인은 올해 1월에 출시된 이후 한때 시가총액이 90억 달러에 도달했으나, 이후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현재는 약 16억 달러 수준으로 크게 하락했다. FFF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홀더 만찬을 통해 가격을 부양시키려는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밈코인의 실질적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FFF는 밈코인 축적을 위해 최소 2억 달러 규모의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회사 설립도 별도로 추진 중이다. 트럼프 가문은 비트코인 채굴, 스테이블코인 발행 등 다양한 암호화폐 사업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강력한 ‘디지털 제국’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은 리퍼블릭의 주요 투자사로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벤처 부문인 바이낸스 랩스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바이낸스 창립자인 창펑 자오(CZ)를 사면하는 기회를 가지기도 했다. 이러한 연결고리는 향후 바이낸스와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밈코인의 금과 시장에서의 진화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FFF의 이번 인수 회담은 밈코인의 한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유용성을 확보하려는 대담한 시도로 풀이된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이 직면한 여러 도전에 대처하면서도 트럼프의 지지층을 기반으로 한 기업 모델의 생존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