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의한 금리 인하, 비트코인 상승과 XRP·DOGE ETF 상장 소식

[email protected]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25년 첫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과 암호화폐 업계가 강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이슈로 떠오른 FOMC 회의 직후 비트코인(BTC)은 잠시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리플(XRP)과 도지코인(DOGE)을 기반으로 한 현물 ETF의 상장이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지난주 비트코인은 FOMC 회의 전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 주변에서 횡보하다가, 회의 후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를 넘어서며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이후 매도 압력으로 인해 소폭 하락하여 현재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 부근에서 안정세를 찾고 있는 모습이다. 이번 주 비트코인의 상승폭은 여타 알트코인들에 비해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바이낸스코인(BNB)은 최초로 1,000달러(약 139만 원)를 돌파하여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하이퍼리퀴드(HYPE)는 약 59달러(약 8만 2,000원)까지 상승하면서 급등세를 보였다. 특히 아발란체(AVAX)는 단일 주간에 20% 상승폭을 보여 두각을 나타냈다.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압박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는 연준의 통화정책을 더욱 확장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꾸준히 요구해 왔으며, 그 결과로 이번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됐다. 시장은 이미 이를 어느 정도 반영했으나 이후 비트코인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 심리 회복이 나타났다.

특히 이번 주의 가장 큰 뉴스 중 하나는 미국 최초의 리플(XRP)과 도지코인(DOGE) 기반 현물 ETF 상장이다. REX-Osprey에 의해 출시된 이 ETF는 거래 시작과 동시에 폭발적인 자금 유입을 기록했으며, XRP ETF가 기대 이상의 관심을 받으며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이는 암호화폐가 보다 광범위한 금융 시스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간주된다.

전 비트멕스 CEO 아서 헤이즈는 그의 SNS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한 측근을 지명하면 암호화폐 시장에 대규모 유동성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비트코인의 가격이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은 돈 찍기를 멈추지 않을 것이며, 비트코인은 궁극적인 헤지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ETH)은 오는 12월로 예정된 ‘푸사카(Fusaka)’ 메인넷 출시에 맞춰 기술 로드맵을 자세히 공개했다. 10월 1일부터 단계별 배포가 시작될 예정으로, 이는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수수료 구조 개선을 목표로 한 대규모 네트워크 발전의 일환이다.

비트코인 상승세가 잠시 주춤한 상황에서 금 가격은 신고가를 갱신하며 두 자산 간의 성격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이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으며, 2021년과 유사한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트럼프 대통령의 Truth Social이 제안한 비트코인 ETF의 승인 결정을 미루었다. 당국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가운데, XRP와 DOGE ETF는 시장의 플로우를 재편할 잠재력을 뚜렷이 입증하고 있다. 이번 주는 정책 신호와 ETF 상장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