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발언 후 비트코인 시장 대폭락, 바이낸스 전액 환급 조치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가상자산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기술 수입에 대한 100% 관세 예고 이후 급락하며 대규모 청산 사태를 겪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바이낸스는 약 283만 달러(393억 원)를 피해 사용자들에게 환급하기로 결정하며, 고객 보호에 나섰다. 글로벌 경제의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공황에 가까운 매도를 진행하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 외에도 다양한 합성 자산이 급속히 가치 하락을 겪었다.

이번 청산 사태는 10월 10일(현지시간) 기술적 오류로 시작됐다. 바이낸스에 따르면, 시스템 장애가 특정 코인의 거래 체결 지연과 가격 왜곡을 초래한 결과, 일부 파생상품에서 담보 청산이 발생하였다. 급격한 시세 하락으로 전체 시장에서 단 1시간 만에 약 70억 달러(9조 7,300억 원)가 증발하며, 이 사건은 암호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다. 바이낸스는 해당 시간 동안 자사 플랫폼에서 발생한 청산 비중이 전체 시장 거래량에 비해 낮았다고 강조하며, 시장의 전반적인 약세가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담보 청산으로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 전액 환급해주었으며, Earn 상품 및 내부 이체 지연으로 인한 피해자들도 동일하게 보상받았다. 또한, 회사는 이번 사건과 관련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블록체인 기록에 따르면 가격 급락은 10일 21시 20분경에 발생하였고, Earn 상품의 가치 변동은 이후에 있었음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더불어, 바이낸스는 일부 현물 거래쌍의 급락 현상에 대한 추가 설명도 제공했다. 2019년부터 존재했던 구형 지정가 주문들이 매도세의 격화로 일시에 체결되어 발생한 일시적인 ‘폭락’ 현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몇몇 거래쌍에서는 ‘제로 가격’이 표시된 현상이 있었으나, 이는 최근 가격 소수점 단위 체계 변경으로 인한 UI 오류로 분석되었다.

이 사건은 역사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청산으로 기록되었으며, 그 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긴장 악화이다. 하루 동안 총 190억 달러(약 26조 4,100억 원)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사라지며, 전체 시장 시가총액 약 1조 달러(약 1,390조 원)가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낸스는 이러한 유사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안정성 강화를 계획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전면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API 연결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을 전하며, 기술적 신뢰 회복을 위해 더욱 투명한 데이터 공개와 문제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