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산정 공식, 경제학자들 반발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산정 공식은 경제학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으며, 이는 결함이 있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 공식을 형성하는 주요 지표가 과소평가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inflating된 관세율이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대적’ 관세 계획에 따르면, 관세율은 미국과 각국의 무역적자를 기초로 하여 산정된다. 이 공식은 해당 국가의 무역적자를 자국의 수출로 나눈 뒤 이를 다시 두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와 더불어, 트럼프는 거의 모든 국가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했다.

하지만 경제전문가들인 케빈 코린스와 스탠 뷔거는 트럼프의 관세 산정 공식이 실제보다 낮은 탄력성 비율에 기반해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이 공식은 수입 가격의 관세에 대한 탄력성을 약 0.25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 수치는 실제로는 1.0에 가까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들은 소매 가격의 변화가 아니라 수입 가격의 변화를 기반으로 탄력성을 추정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가 부과한 관세율은 국가에 따라 10%에서 50%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탄력성 관련 가정이 조정된다면, 실제로 어느 국가의 관세율도 14%를 초과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10%의 기본 관세에 해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최근 발표된 트럼프의 계획에 따르면 레소토의 관세율은 50%였지만, 조정 후에는 13.2%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또한, 카토 연구소의 최근 보고서는 트럼프가 정당화하는 데 사용한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주장한 중국의 2023년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은 67%였지만, 실제로는 3%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투명한 계산 방식이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결국,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잘못된 기초에 서 있으며, 이는 무역 상대국들과의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강력한 관세 정책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경제 전반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