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정책, 기업의 중국 의존도 감소를 어렵게 만들다

[email protected]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의 상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회사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계획이 난관에 부딪혔다. 특히 인도, 베트남, 대만에서 수입되는 상품에는 각각 26%, 46%, 32%의 추가 세금이 부과되었고, 중국에는 104%의 징벌적 관세가 적용되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상품 생산의 위치와 방법을 다시 판단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일리노이주에 본사를 둔 가정용품 회사인 Honey-Can-Do International의 CEO 스티브 그린스폰은 트럼프의 첫 임기 동안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기 시작했다. 그의 회사는 월마트, 타겟, 아마존과 같은 미국 소매업체에 가정용 내구재를 공급하고 있다.

호텔용품을 공급하던 그린스폰은 한때 제품의 70%를 중국에서 조달했으나, 현재는 그 비율이 1/3 이하로 줄어든 상황이다. 그런데 이번 고율의 관세 소식은 그가 베트남과 대만에 한 많은 투자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그는 “우리 회사에 너무나도 큰 충격이다. 실망스럽고 슬프며, 답답하다”며, “미국 기업으로서 그런 관세를 내야 하는 현실이 너무 아프다”고 토로했다.

트럼프의 무역 전쟁은 기업들이 ‘China Plus One’ 전략을 채택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기업들이 생산의 일부를 중국에서 인건비가 낮고 관세 위험이 적은 다른 아시아 국가로 이전하도록 유도했다. 하지만 트럼프가 모든 국가에 최소 10%의 기본 관세와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함에 따라, 이 전략을 채택한 기업들은 다시 한번 그들의 공급망 전략을 재조정해야 할 상황에 처해 있다.

코넬 대학의 국제무역 및 경제 교수인 에스와르 프라사드는 “트럼프의 이러한 관세 정책은 모든 미국의 무역 파트너를 포함하고 있어, 베트남, 인도와 같은 국가를 통한 생산 루트를 재구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말한다. 이처럼 높은 관세는 미국의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가격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제품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관세가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가져오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기업들은 이제 관세의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공급망의 중단에 직면해 있다. 많은 기업들이 현재의 관세가 어떻게 변화할지 기다리고 있으며, 베트남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트럼프와의 무역 협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도 미지수이다.

결국,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관세 회피 전략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겠다. 예를 들어, 기업들이 저관세 국가로 공급망의 일부를 이전해야 할 상황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은 시간과 자본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미국 내 생산을 늘리려는 노력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이며, 트럼프의 3~4년 임기 동안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