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이 세계 각국으로부터의 수출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들은 생산지 다각화 계획에 큰 혼란을 겪고 있다. 현재 인도, 베트남, 대만에서의 수입품에는 각각 26%, 46%, 32%의 추가 세금이 부과되고 있으며,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무려 104%의 징벌적 관세가 시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중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제조업체들이 다른 아시아 국가로 생산을 이전하도록 유도해왔다. 많은 기업이 이러한 “중국 플러스 원” 전략을 채택하여 베트남과 대만 등으로 생산 기지를 옮기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이 전략은 다시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일리노이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집기 회사 핸디캔두 인터내셔널의 최고경영자 스티브 그린스폰은 트럼프가 집권한 이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 이전을 가속화해 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관세가 너무 높아질 경우, 우리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그의 회사가 중국 공급업체에 의존하던 비율이 70%에서 30% 아래로 줄어드는 과정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설명하며, 관세가 적용되는 국가에 대한 추가 투자가 큰 영향을 미친다고 토로했다.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정책은 특히 인도와 베트남을 겨냥한 것으로, 이들 국가가 과거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었음을 감안할 때 기업들이 반발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코넬대학교의 국제무역 및 경제학 교수 에스와르 프라사드는 “관세가 시행됨에 따라 전 세계 공급망의 효율성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러한 조건에서 기업들은 다시 사슬을 정비하기 어려워졌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관세 부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기업들은 인력비용과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생산을 미국으로 되돌릴 수 없게 될 것이고, 결국 소비자 가격이 오르게 되어 생산물의 가격 경쟁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많은 기업들은 생산 계획을 일단 보류하고 상황을 지켜보려고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미국 정부는 이러한 관세가 미국 제조업을 재건하는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무역 제한조치의 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공급망보다는 회복력을 중시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결국, 이번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장기적인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게 할 것이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많은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