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이 최근 사상 최대의 청산 사태를 맞이했다. 이에 앞서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지 불과 며칠 만에 급락하며,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100% 추가 관세 부과 선언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에 대한 무역 전쟁을 재점화하며 100%의 추가 관세와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 조치를 예고했다. 이 발언 직후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흔들렸고, 비트코인은 단 하루 만에 12% 넘게 하락하게 되었다. 비트코인은 이번 주 초 12만 5000달러를 돌파하면서 많은 이들의 기대감을 높였지만, 뉴욕 기준 금요일에는 11만 3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24시간 동안 청산된 포지션의 규모는 약 190억 달러에 달하며, 160만 명 이상의 트레이더들이 포지션을 강제 청산당했다. 특히 이 중 약 70억 달러 규모의 포지션은 단 1시간 만에 청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코인글래스는 “실시간으로 보고되지 않는 거래소가 많아 실제 청산 규모는 더욱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청산 사태는 단순한 가격 변동이 아닌, 시장 내 상대방 리스크를 증명하는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멀티코인 캐피털의 수석 트레이더인 브라이언 스트루갓츠는 “총 청산 규모가 3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하며, “기관들의 과도한 레버리지 노출이 문제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트럼프의 대중 강경 노선은 글로벌 시장 전반에 충격을 주었으며, 주식, 원유, 암호화폐 모두가 급락세를 보였다. 프라임 브로커리지 기업인 팔콘X의 공동대표 라비 도시인은 “미·중 간의 무역전쟁 재점화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하며, 이날 옵션 시장에서는 하방 위험을 회피하려는 수요가 폭주했다고 덧붙였다.
이 동시에 알고리즘 기반의 트레이딩 플랫폼 트레드파이의 CEO 데이비드 정은 “이번 사태는 전형적인 블랙스완 사건”이라며, “특히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한 기관 트레이더들까지 청산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영구선물 계약 구조는 트레이더들에게 24시간 레버리지 거래를 지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폭락 사태는 미·중 관세 갈등이 도화선이 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기관들의 과도한 레버리지에 의해 촉발되었다. 크로노스 리서치의 CIO 빈센트 리우는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시장이 거시적 경제 변수와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명확히 드러낸 것”이라며, 단기적인 변동성이 이어지더라도 청산이 마무리된 이후 반등 신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론적으로, 이번 청산 사태는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닌 글로벌 거시경제와 암호화폐 간의 연결성을 극단적으로 드러낸 사건이다. 비트코인이 다시금 ‘디지털 금’으로서의 방어력을 입증할 수 있을지, 아니면 글로벌 리스크 자산으로서의 변동성에 휘말릴지는 향후 몇 주 간의 시장 반등 흐름이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