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발표한 대중 무역 정책 관련 발언이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합성 달러 USDe가 일시적으로 가치가 급락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USDe는 한때 1달러에서 0.65달러까지 떨어지며 페깅을 이탈했다.
이와 관련하여, USDe의 개발사인 에테나랩스(Ethena Labs)의 창립자 가이 영(Guy Young)은 7일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사건의 원인을 설명했다. 그는 해당 현상이 에테나랩스의 인프라 오류가 아닌, 바이낸스의 내부 데이터 처리 방식에 기인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USDe의 발행 및 상환 과정은 전혀 문제가 없었으며, 프로젝트의 구조나 담보 자산 또한 안정적이었다”고 밝혔다.
사건이 발생한 7일에는 공포 심리가 확산되며 Curve, Fluid, 유니스왑(Uniswap) 등 주요 분산형 거래소(DEX)에서 24시간 동안 약 20억 달러 규모의 USDe가 상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격 괴리는 0.3% 미만으로 매우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바이낸스에서는 이와 반대로 유독 USDe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며 거래소 내부의 문제를 드러냈다.
가이 영은 바이낸스의 오라클 지수가 외부 가격 오라클보다 자체 주문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떨어진 상황에서 왜곡된 가격이 형성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당시 바이낸스에서 입출금 지연이 발생했으며, 마켓메이커들이 재정거래를 통해 시세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루프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은 중앙화 거래소(CEX)에 의존하는 거래소 오라클 시스템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거래소의 신뢰성이 의심받을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되었지만, 에테나랩스는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입증하며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를 유지한 모습이다.
바이낸스에서의 이례적인 가격 급락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복잡성과 중앙화의 한계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의 시장 심리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향후 거래소들은 내부 데이터 처리 방식의 투명성을 높이고, 외부 가격 오라클을 통해 보다 안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