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C의 짐 크래머는 금요일 방송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결정이 미국의 두 대형 기술 기업인 NVIDIA와 애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상세히 분석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트럼프가 시장에 미칠 영향력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우리는 이를 받아들이고 주식 소유의 위험 요소에 추가해야 한다. 또한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이 개입하지 않는 기업들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공지능 칩의 수출에 대한 제한을 두어 특히 중국을 겨냥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중국의 첨단 기술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규제로 인해 NVIDIA는 큰 타격을 입었으며, CEO인 젠슨 황은 이러한 조치가 실패에 가깝고 미국에 더 해롭다고 경고했다. 황에 따르면, 이러한 제한 조치로 인해 NVIDIA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95%에서 50%로 줄어들었고, 중국은 자국의 칩 생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크래머는 “중국에게 가장 첨단 칩을 제공하는 것보다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애플에도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는 애플이 중국 외 지역에서의 제조 공장을 인도 등으로 이전하려는 노력과는 무관하다. 크래머는 이러한 정부의 조치가 미국산 아이폰의 가격을 비싸게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대의사를 밝혔다. 그는 애플이 이미 많은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크래머는 정부가 기업에 대해 지나치게 간섭하는 사례가 역사적으로 존재했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은 1964년에 국가적인 파업이 경제를 위협하자 철도 산업을 통제했던 경우가 있다. 또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은 경제가 불안정한 때에 강철 가격 인상을 비판하며 기업들에게 가격 인하를 압박했던 일도 있었다. 그러나 크래머는 현재의 상황은 대통령이 단순히 기업에게 명령을 내리고 그들이 수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강하게 대처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은 마치 이사회 의장처럼 기업 경영진의 비즈니스 결정을 무시하고 있다. 그는 그들의 합리적인 판단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자신의 의도로만 세상을 운영하려 하고 있다”며 현재의 상황이 점차 ‘명령 경제’로 나아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백악관은 이와 관련된 논평 요청에 즉시 응답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