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반도체 100% 관세, 비트코인 채굴 수익성 55% 하락

[email protected]



미국의 비트코인(BTC) 채굴 시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100% 반도체 수입 관세로 인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조치는 8월 7일에 발효되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수입되는 ASIC(애플리케이션 특화 집적 회로) 장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당 장비들은 채굴 기업들의 필수 자원으로, 관세 시행으로 인해 평균 조달 비용이 21% 이상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정책을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와 공급망 자립을 위한 조치로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미국 내 채굴 장비 생산 기반이 열악하여 대안 찾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채굴 업계는 관세 발효 전에 장비 수입을 시도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했지만, 관세 시행 이후 기존 우회 수입 경로가 거의 완전히 차단되면서 채굴 장비 가격은 급등했다. 이로 인해 많은 채굴 기업들은 기술 투자 및 시설 확장 계획을 재검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특히 비트메인과 마이크로BT와 같은 주요 ASIC 제조사들은 비록 중국 외의 생산 기지를 확보했지만, 이번 관세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다. 일부 미국 내 생산 설비를 기반으로 한 칩는 예외 조항이 적용받지만, 해외에서 제조된 고성능 ASIC 대부분은 여전히 관세의 적용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채굴 연간 수익성은 작년에 비해 55%나 급감했으며, 해시레이트 난이도는 사상 최고치인 123조를 돌파했다.

케임브리지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채굴 산업에서 초기 설비 투자에서 하드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60~70%에 달한다. 따라서 장비 가격 상승은 미국의 해시율 지배력을 장기적으로 약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정책이 갑작스럽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놀랍다”라고 언급하며, 이번 조치가 계획 없는 급작스러운 결정이었음을 반영하고 있다.

관세의 여파로 몇몇 채굴업체는 캐나다, 노르웨이, 카자흐스탄 등 관세 부담이 적은 국가들로의 이전을 고려하고 있지만, 단기간 내에 효과적인 탈출구를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내 해시레이트 점유율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트럼프 대통령의 산업 자립 정책이 비트코인 채굴 업계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에 대해 업계의 반응과 정책 변화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