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전략에 시장 폭락은 포함되지 않았다, 백악관 고위 경제 고문 언급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적인 전략 중 하나로, 시장 폭락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ational Economic Council) 위원장인 케빈 하셋(Kevin Hassett)은 일요일 방영된 ABC 뉴스 프로그램 ‘이 주의 소식(This Week)’에 출연하며, 시장의 급락이 대통령의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하셋은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서 시장이 고의로 하락하고 있다는 영상을 공유한 후 이에 대해 대응한 발언을 한 것이다.

트럼프는 4월 4일, 자신이 지난 수요일에 발표한 보복 관세 조치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주식 시장을 급락시키고 있지만, 그는 의도적으로 이를 진행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비디오를 공유했다. 해당 비디오는 3월 초 틱톡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트럼프의 경제 계획의 일부로 이러한 시장 하락을 설명했다. 비디오는 “트럼프가 이번 달 주식 시장을 20% 하락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를 의도적으로 하고 있으며, 당신을 부유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조치가 미국 재무부의 채권으로 자금을 유입시키고, 연방준비제도(Fed)가 5월에 금리를 인하하도록 강요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는 달러 가치를 약화시키고, 주택 담보 대출 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차례 질문을 받은 하셋은 “트럼프는 시장을 고의로 하락시키려는 의도가 없다. 그는 미국 근로자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명확히 밝혔다. 하셋은 “시장이 폭락하는 것은 트럼프의 전략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광범위한 글로벌 무역 전쟁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 시장의 급락을 초래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금요일에만 약 2,231포인트, 즉 5.5% 하락해, 2020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S&P 500은 금요일에 거의 6% 하락했으며, 목요일에 4.8% 하락한 데 이어 연속해서 하락세를 이어갔다. 기술 중심의 나스닥 지수(Nasdaq Composite)는 관세 발표 후 이틀 동안 거의 12% 급락하며, 약세장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런 시장의 반응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 및 무역 전략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이어지며, 향후 경제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