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현지시간)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위비 관련 오류 발언에 이재명 대통령이 즉각적인 정정을 하지 말도록 권고받았다. 미국 전문가들은 회담이 ‘리얼리티 TV쇼’처럼 즉각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회담 중의 오해나 잘못된 정보는 회담 이후에 정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스콧 스나이더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최근 세미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실시간으로 오류를 정정하기보다는 회담 뒤에 양측이 조율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방위비 문제와 관련하여 잘못된 수치를 제시한 예를 들며, ‘한국을 위한 미국의 방위비 부담이 과도하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데 제때 대응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스나이더 소장은”트럼프 대통령이 즉흥적으로 잘못된 발언을 하더라도 회담 중 실시간으로 정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지만 이러한 발언은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난 2월 백악관에서 겪었던 외교적 긴장을 예로 들며, 정상 간의 입장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 만남에서의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또한, 통역 문제로 인해 외교 대화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특성을 지적받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점이 ‘장점이자 단점’으로 평가되며, 회담 중 통역 미비로 인한 오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에리우스 데어 KEI 커뮤니케이션 부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이나 북한 관련 즉흥 발언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하며, 그러한 발언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방위비 분담뿐만 아니라 중국 문제, 전략적 유연성, 그리고 미국의 동맹 현대화와 같은 다양한 의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 해소 방안과 중국의 비상사태 대비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엘렌 김 KEI 학술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발언을 실제로 이행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그가 방위비 문제를 회담의 핵심 의제로 삼을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이 세부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질지는 회담 이후에 시스템적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