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가족 후원 기업, 중국산 채굴 장비에 대한 관세 면제 특혜 논란

[email protected]



미국의 대중 무역 전쟁이 비트코인 채굴 산업에까지 미치면서 일부 상장 채굴 기업들이 세관으로부터 수억 달러의 관세 청구서를 받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반해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후원하는 채굴 사업체는 중국의 비트메인으로부터 1만 6,000대 이상의 채굴기를 관세 없이 수입한 사실이 알려져 업계의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채굴 업계의 어려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더 마이너 매그(The Miner Mag)의 보도에 따르면, 클린스파크(CleanSpark)는 약 1억 8,500만 달러, IREN은 1억 달러 규모의 관세 부과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들 기업은 최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으로부터 받은 통지에서 해당 장비들이 모두 중국산이라는 소식에 깜짝 놀랐다. 백악관이 개정한 관세 정책에 따라 중국산 채굴 장비에 대한 고율 관세가 최대 57.6%에 달하는 상황에서,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

더욱이 채굴 수익성도 떨어지고 있다. 더 마이너 매그는 전체 블록 보상에서 거래 수수료의 비중이 1% 이하로 떨어졌다고 언급하며, 수익 구조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7월의 생산 데이터에 따르면 IREN과 마라 홀딩스(Mara Holdings)는 각각 7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채굴했지만, 클린스파크와 캉고(Cango)도 6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은 여전히 낮은 수익성에 시달리고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 채굴 산업이 여러 방향에서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미국의 블록체인 업계는 월가의 관심을 끌기 위해 제도권으로의 유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ETH)에 대한 기업의 재무부 매입이 활발해지고, 토큰화된 실물 자산 시장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서는 위안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시장의 관심은 복잡하게 얽힌 지정학적 상황과 기술적 흐름에 집중되고 있다.

이번 주 크립토 비즈 레터에서는 더 마이너 매그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폴카닷(DOT)의 자본시장 진출, 샤프링크(SharpLink)의 대규모 ETH 매입, 그리고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관련 전략 가능성 등 주요 이벤트들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움직임은 암호화폐 산업이 제도권으로 더욱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