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고용 지표의 악화를 두고 “지난주 고용 보고서는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그는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번 고용 보고서가 급진 좌파 민주당에 유리하게 되도록 정치적인 동기가 강하게 작용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7월 고용 통계에 대해 말하며, “이 수치는 대선 전 발표된 조작된 수치와 동일하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조정이 과장돼 공화당의 긍정적인 성과를 감추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에 대한 해임 결정을 정당화하였다.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7만3000건 증가에 그쳤고, 시장 예상치인 10만6000건을 훨씬 밑돌았다. 이는 지난 5월과 6월의 고용 수치 역시 대폭 하향 조정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최근 3개월의 평균 비농업 신규 고용은 3만5000건에 머무르며 전년보다 크게 감소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용 쇼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에서도 “내가 곧 훌륭한 후임자를 선임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해임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그는 “맥엔타퍼는 지난 50년 중 최악의 오차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며, 그가 대선 이전에도 고용 수치를 부풀렸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비난은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 후보로서의 입지를 다지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트럼프의 고용 보고서에 대한 비난은 정치적 논란을 가중시키며, 그의 리더십 아래에서의 경제적 성과에 대한 평가에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 미국의 경제 지표가 정치적 수사의 대상이 되면서, 향후 대선에서의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