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호황을 누릴 것이라 주장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여러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및 전 세계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긍정적인 전망을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관세 부과를 ‘수술’에 비유하며, 이러한 조치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 강하게 믿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에 약 7조 달러에 달하는 해외 투자가 유입될 것이라는 주장을 하며, 이는 결국 미국 시장의 호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시장은 호황을 누릴 것이며, 미국은 과거보다 훨씬 더 강하게 회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과는 다르게, 이날 뉴욕증시는 심각한 투매 현상이 나타났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3.98% 하락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각각 4.84%와 5.97%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번 증시 하락은 2020년 팬데믹 기간 중 경제 불안 우려가 극대화됐던 때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오랫동안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고, 이것이 미국 경제에 믿기 어려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현재의 무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해외 국가들이 미국과의 거래 방식에 대해 다시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도 “수술이 끝났고 환자가 살아남아 회복 중이다”라며, 미국의 경제가 과거보다 더 튼튼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제 미국은 다시 위대해질 것”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에 185개국을 대상으로 최소 10%,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는 방침을 밝히면서 주요 교역 상대국들에 대해 상당한 세율을 적용했다. 이 중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한국 25%, 인도 26%로 설정되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주장과 정책은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불러일으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그와는 상반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의 정책이 향후 경제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앞으로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