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무역 국가들에 대한 관세를 시행한 지 6개월이 지났으나, 이에 따른 미국 경제의 충격은 예상보다 작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가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현재까지는 대규모 경제 붕괴나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관찰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2월, 합성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 전쟁’을 촉발했다. 이에 따라 예일대 예산연구소의 추정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미국의 실효 관세율은 18.3%로, 이는 193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WSJ는 “관세 시행 후 6개월이 지났지만 경제는 멀쩡하다”며 “물가는 폭등하지 않았고, 슈퍼마켓 선반이 비어 있는 상황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한편, 미국의 관세 수입은 상당히 증가했다. 미국 재무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의 관세 수입은 272억 달러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거의 4배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무역 적자는 602억 달러로 줄어들어, 2023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과 같이 관세가 세수 증가와 무역 적자 축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같은 관세 수입이 지속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모리스 옵스펠드 선임 연구원은 “관세가 미국의 수입을 줄이면 수출에도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어, 무역 적자에 커다란 변화를 주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입이 줄어들면 미국 내 생산 업체들이 그동안 해외에서 조달하던 제품을 더 많이 제조해야 하므로, 자원이 국내 생산에 투입되면서 결국 수출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여전하다. 미국 기업들은 고객 이탈을 걱정해 가격 인상을 자제하였으나, 이러한 압박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알베르토 카바요 교수은 주요 유통업체의 가격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생활용품, 가구, 전자제품 등의 수입품 가격이 3% 가까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은 것은 수입 업체들이 비용을 감수했기 때문이지만, 10%에서 15%까지 관세가 유지될 경우 연말까지 최대 4%의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종합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미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전혀 새로운 경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정책 입안자들과 경제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