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09/Kr.png)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 발언 이후, 금가격이 연일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10일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금값은 g당 15만2800원으로 마감되었으며, 이는 전 거래일 대비 4.95% 상승한 수치로, 지난 5일 기록한 14만7820원을 넘어섰다. 이러한 금가격의 상승은 글로벌 증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금값은 미국 대선 이후 급등 후 다시 잠잠해졌던 시기를 지나,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선포하며 다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첫 거래일인 1월 2일 금값이 g당 12만8790원이었던 것에 비해, 불과 한 달 만에 18.64%나 상승한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향후 금과 같은 금속류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미국 달러화의 변동성을 헤지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다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금에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이 긴축으로 급선회하지 않는 한, 금과 같은 귀금속 섹터를 위협하는 명목금리와 달러지수 상승세도 제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금가격 상승세 속에서, 개인투자자들은 KRX 금시장에서 총 190억원어치의 금을 순매수했다.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투자는 더욱 두드러져, 개인투자자들은 ACE KRX금현물 ETF를 324억원어치 순매수하며 이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해외 투자자들은 최근 일주일 동안 SPDR 금 ETF(GLD)를 약 129억원어치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금가격과 연동되는 ‘금 코인’도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팍스골드(PAXG)와 테더골드(XAUt)는 각각 2.48%, 2.42% 상승하며 금 가격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금 코인들은 실물 금을 담보로 하여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결정 이후 주요 가상자산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금 코인은 가격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금가격을 상승시키고 있으며, 개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금 매수와 ETF 투자도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으며, 가상자산 시장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