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금에 대해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전해졌다. 이 발표는 최근 금 가격의 변동성과 관련하여 시장의 혼란을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8일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세관당국이 1㎏ 금괴와 100온스 금괴를 관세 부과품목으로 분류했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큰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1㎏ 금괴는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활발히 거래되는 품목 중 하나로, 이로 인해 금 거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미국이 세계 최대 금 정제국인 스위스에 대해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골드바를 포함한 금 관련 상품에 대한 걱정도 함께 증대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는 이러한 시장 혼란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진다. 그는 금이 금속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자산이자 글로벌 통화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은 관세가 부과되는 일반 원자재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만약 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이는 전 세계 금 거래 및 시장의 안정성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이번 조치로 인해 금 가격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진화 조치가 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전체 금융 시장에도 여파를 미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금과 관련한 국제적인 거래 및 정책 변화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