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기대…”노벨위원회, 외부 압력 반영하지 않을 것”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수상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며, 이를 위해 각국의 분쟁 중재자로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한편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노벨위원회 사무총장인 크리스티안 베르그 라르프비켄은 12일 AF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역시 특정 후보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 대상이 트럼프 대통령임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그는 이어 위원회가 후보자들을 수상 자질에 따라 엄격히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행 중인 논의에서 위원회가 그런 외부의 관심에 휘둘릴 일은 전혀 없다”는 그의 발언은 독립적인 결정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가 시작된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중재자로 나서왔다. 그는 중재를 통해 이루어진 평화 구축의 성과를 바탕으로 자신이 노벨 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그의 행보를 두고 많은 미국 언론은 이를 ‘노벨 평화상 수상에 대한 욕심’으로 해석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2009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사례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국제 외교와 국민 간 협력을 강화하는 탁월한 노력’을 인정하여 수상자로 선택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례를 들어 자신도 평화상 수상에 자격이 있다는 주장을 여러 차례 해왔다.

또한, 노벨위원회는 과거에도 정치적 압력에 굴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그들은 2010년 중국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를 평화상 수상자로 지명했지만, 이는 중국 정부의 강한 반발을 초래하여 양국 간 외교적 마찰을 일으킨 바 있다. 이 사건은 위원회가 외부의 정치적 압력을 불구하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마무리하자면, 베르그 라르프비켄 총장은 “노벨위원회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활동할 것이며, 외부 압력을 고려하지 않겠다”며 노벨 평화상 선정 과정의 투명성과 독립성에 대한 신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명확하게 밝혔다. 이와 같은 입장은 국제 사회에서도 중요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