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미디어 그룹, 비트코인 2조 원어치 매입하며 정치권 암호화폐 진출

[email protected]



트럼프 대통령의 미디어 기업인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TMTG)’이 약 20억 달러, 즉 2조 7,800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편입했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이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불어넣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 TMTG는 비트코인을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 같은 결정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와 같은 대기업들의 전략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행보는 정치권에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특히 다가오는 미국 대선과 맞물려 정치적 리더십과 암호화폐의 연계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앞으로 공공 부문에서도 암호화폐를 활용하는 시나리오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글로벌 결제 기업 비자($V)는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신흥시장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대를 추진 중이다. 비자 암호화폐 부문 수석이자 쿠이 셰필드는 “USDC, USDP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결제가 결제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활성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미국 내 규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신흥시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뉴욕의 규제기관과 블록체인 보안 리서치에 따르면, 딥페이크, 음성 클로닝, 피싱 챗봇 등을 이용한 AI 기반의 암호화폐 사기 사건이 전년 대비 45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에 본사를 둔 대규모 범죄 조직이 미국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고급 소셜 엔지니어링 수법으로 자산을 탈취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전문가들은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를 우려하며, 경험이 풍부한 투자자들조차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칼럼을 통해 JP모건과 같은 글로벌 은행이 제공하는 암호화폐 담보 대출이 2008년 금융위기와 유사한 시스템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테이블코인이 갑자기 붕괴하거나 담보 토큰이 급락할 경우, 전체 시장에 비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디파이(DeFi)와 전통 금융 간의 경계가 점점 더 흐릿해지는 가운데, 업계 내외부에서는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상승세와 함께 제도권의 참여가 부각되는 가운데, 보안과 규제 이슈 역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중요 사안임을 시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