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상호관세를 발효하기 위해 7월 31일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나 저녁에 서명이 진행될 예정이며, 상호관세는 8월 1일 자정을 기해 본격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두 차례에 걸쳐 상호관세의 발효를 연기해왔으나, 유예 기간이 만료되는 8월 1일 0시 1분부터는 실제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은 관세 유예 기간 동안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체결하였으므로, 합의된 내용에 따라 조정된 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되었다. 반면, 협상을 완료하지 못한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에 발송한 서한에 기재된 관세율을 그대로 적용받게 된다.
레빗 대변인은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공식 서한을 수신하지 않은 국가들은 금일 자정까지 미국 행정부로부터 연락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외국의 지도자들이 이 기한을 인지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해 협상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하며, 협상 타결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시행됨에 따라 이날 자신이 만든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서 “관세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고 부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자신의 정책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관세는 수십 년 동안 미국의 이익을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돼 왔으며, 이제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며 미국이 관세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새로운 상호관세의 발효는 향후 미국과 무역을 하는 국가들에게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실제로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커지면서 다수의 국가들은 협상에 급하게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경제 상황과 무역 정책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