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시장 폭락 의도 없다…백악관 경제 고문 주장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을 의도적으로 폭락시키려는 전략은 없다는 주장이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국장 케빈 해셋에 의해 제기됐다. 해셋은 ABC의 프로그램 ‘이번 주’에 출연하여 트럼프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쓰 소셜에 공유한 비디오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이 비디오에서는 트럼프가 시장을 고의로 떨어뜨리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트럼프는 4월 4일, 그의 관세 발표 이틀 후 이 비디오를 공유했다. 해당 비디오는 “트럼프가 이번 달 주식을 20% 폭락시키고 있지만, 이는 고의적이다”라는 주장을 하며, “그의 전략은 금리가 감소하도록 현금을 재무부로 유도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해셋은 트럼프가 미국 근로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시장을 폭락시키려는 의도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장을 하락시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의 목표는 미국 근로자들을 위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라는 해셋의 말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트럼프의 보복성 글로벌 관세 도입 이후, 시장은 급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정은 무역 전쟁의 장기화 및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을 키우며 상당한 하락세를 초래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금요일 하루에만 약 2,231포인트, 즉 5.5% 하락하며 2020년 6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금요일에 6% 가까이 하락하며, 목요일의 4.8% 하락세와 연이어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 특히, 기술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관세 발표 이후 이틀 만에 12% 가까이 하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했다.

해셋의 주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의도적인 시장 폭락과 무관함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향후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백악관은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경제 시장과 미국 근로자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며, 향후 정치 및 경제적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