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 미국 내 공장 건설 기업에 관세 면제 방침 발표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건설할 것을 약속하고 이를 이행하는 기업에게 반도체 품목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겠다는 방침이 발표됐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이와 같은 정책을 밝혔으며, 이는 미국 내 투자와 공장 건설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러트닉 장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는 경우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또한, 공장 건설을 위한 약속을 상무부에 신고하고 그 과정이 감독될 경우, 반도체를 세금없이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발표에 따라 이미 텍사스주와 인디애나주에 반도체 생산 시설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실질적인 관세 면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에서 반도체와 관련하여 100%의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하며, 만약 미국 내에서 공장을 건설할 경우에는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제조업의 강화와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강력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예정이다.

러트닉 장관은 현재 TSMC와 마이크론과 같은 기업들이 각각 2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며, 향후 미국 전역에서 1조 달러 규모의 반도체 산업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러한 새로운 관세 정책이 매월 최대 500억 달러에 달하는 관세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중 반도체와 의약품 품목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다. 처음에는 의약품에 대한 소규모 관세 부과를 시작으로, 1년 내지 1년 반 후에는 150%로 늘리고 최종적으로는 250%까지 올릴 계획을 세웠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의에 따라 반도체 및 의약품 분야에서 최혜국 대우를 보장받았으며, 이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더욱 유리하거나 같은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러트닉 장관은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휴전이 연장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현재 진행 중인 협정이 90일 간 연장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와 기대감은 미국 내 제조업 부흥을 위한 의미 있는 전략으로 여겨진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