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체포 언급하며 해외 기술 인력 유입 필요성 강조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체포와 관련하여, 미국 내 해외 기술 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발언을 했다. 11일(현지시간) 방송된 폭스뉴스 ‘더 잉그럼 앵글’ 인터뷰에서 그는 배터리 생산과 같은 복잡한 기술을 다루기 위해 외국의 숙련된 인재들을 미국으로 데려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기술은 미국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직군의 인재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서 인재를 데려오지 않고서는 기술을 배우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하며, 특히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기술자들이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인들은 배터리 제작 기술에 경험이 풍부하며, 이들이 없으면 이러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조지아주에서의 한국인 근로자 체포 사건은 이민 당국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사 현장을 급습하면서 발생했다. 9월, 317명의 한국인 근로자들이 무비자 또는 B-1 비자를 통해 입국한 상태에서 구금됐다. 이 사건 이후 한미 양국은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한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논의 중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이민 당국의 행동에 대한 유감 표명도 잊지 않았다. 그는 “외국이 100억 달러를 투자하여 공장을 세운다고 할 때, 5년 동안 일한 적이 없는 실업자를 데려와 배터리를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며, 기술력 있는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의 물가 상승 문제에 대해 민주당으로부터 비판받고 있지만, “우리의 경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좋다”고 반박하면서, 자신의 경제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고기와 커피 가격이 비싸진 점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커피 관세를 조정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같은 발언은 조지아주에서의 인력 문제와 관련하여, 앞으로의 이민 정책 및 경제 정책에 있어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 기술 인력을 확보하는 방식이 향후 미국의 고용시장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욱注目해야 할 부분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