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디지털 달러 전략으로 미국의 금융 주도권 강화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는 최근 디지털 자산을 통해 기존의 금본위 체제에서 디지털 기반 금융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크립토 서밋에서 미국을 ‘비트코인 슈퍼파워’로 만들겠다고 선언하며, USD1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해 이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트럼프 가족과 연관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발행하였고, 단기 미국 국채와 현금성 자산으로 100% 담보되고 있다. 이는 미국 금융 시스템의 새로운 아키텍처를 시험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미국의 국채 중 31%가 1년 이내 만기인 단기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의 권장 비율인 15-20%를 크게 초과한 수치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준을 통하지 않고 직접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AI 및 빅테크 중심의 고성장 산업에 자금을 집중 조달하고 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기존 머니마켓펀드를 대체할 새로운 미국 국채의 주요 투자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테더는 자산의 67.38%를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 있다.

현재 달러 페깅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약 2,400억 달러 규모이며, 이 시장은 2026년까지 5,000억 달러, 2028년까지는 2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미국 국채 수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지속적인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확장 지원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23년 7월 18일 ‘GENIUS 법안’에 서명하여 빅테크 기업들이 자사 생태계 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합법적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이로 인해 애플페이, 유튜브, 구글플레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렇게 확대된 유동성은 AI 산업에 전략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2025년까지 미국 빅테크의 AI 관련 투자액은 3,2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40% 이상의 증가를 나타낼 것이다. 메타,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이 AI 인프라와 데이터 센터 역량 강화를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고 있어, 이로 인해 미국의 글로벌 AI 투자 점유율이 62%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서 새로운 ‘달러의 무기’로 자리 잡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 국가 간 결제 시스템을 재편하는 혁신적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통해 미국 국채 수요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달러의 패권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및 인프라 파트너사로서 텐더와 서클, AI 분야 집중 투자 기업, 스테이블코인 자금 유입 동향, 그리고 GENIUS 법안 이후의 규제 변화 흐름을 면밀히 추적할 필요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스테이블코인 전략은 단순한 암호자산 정책을 넘어, 글로벌 거래 시스템을 미국 국채 중심으로 연결하고 AI 및 기타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미국의 중장기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우리는 지금 ‘디지털 달러 시대’의 시작을 목격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금융과 기술, 권력의 지형 변화를 이끌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