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 시각),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 자동차에 적용되는 2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 발언은 영국 국빈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떠나기 전에 진행된 취재 인터뷰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일본, 유럽연합(EU), 한국과의 무역 협정에서 자동차 품목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것과 관련하여 “어떤 타협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현재 15%의 인하 조치가 발효된 국가는 일본뿐이며, 이는 미국 자동차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는 과거 자신이 최초로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한 사실을 거론하며, “이들 국가들은 몇 년간 아무런 관세도 내지 않았지만, 이번에 15%를 내게 되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반도체와 의약품은 이익률이 더 높기 때문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그는 반도체에 대해 최대 100%, 의약품에 대해서는 150%에서 25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는 또한 “EU가 미국에 9500억 달러, 일본이 6500억 달러를 관세로 내고 있다”고 주장하며, “내가 집권하기 전까지는 단 한 푼도 내지 않았던 기업과 국가들”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그의 관세 정책이 기업 및 국가 간의 거래에서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진행 중인 연방대법원 관세 소송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법률 전문가들이 자신이 승리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대법원의 공정성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우리가 승리한다면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될 것이며, 국민들의 빚을 줄이고 다른 나라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대법원에서 관련 소송이 진행 중이며, 대법원 9명의 대법관 중 6명이 보수 성향이어서 트럼프에게 유리한 판결이 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 대한 언급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 관련하여 “중국과 합의에 도달했다”며, 금요일(19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해 모든 사항을 최종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에 따르면 틱톡 사업권을 인수하려는 “매우 큰 기업들이 존재한다”고 말하며 해당 거래의 큰 변화를 암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런던에서 2박 3일간의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으며, 이는 그의 집권 1기에 이어 두 번째 국빈 방문이다. 그는 윈필드 하우스에 도착해 “내일은 아주 중요한 날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함으로써 이번 방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영국을 사랑한다”는 감정을 표현하며, 이곳에서 만날 찰스 3세 국왕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