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반도체와 의약품에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25%의 관세보다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백악관을 떠나기 전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일부 국가와의 자동차 관세 인하에 대해 “난 어떤 타협도 하지 않았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미국 정부는 과거 일본, 유럽연합(EU), 한국과의 무역 합의에서 자동차 품목의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바 있다. 이 조치 중 15% 인하가 실제로 적용된 국가는 일본뿐이며, 이로 인해 미국의 자동차 업계는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과거 행보를 되짚으며 25%의 자동차 관세를 처음 부과한 사실을 강조했다. 그는 “그들은 몇 년간 아무런 관세도 내지 않았지만 이제는 15%를 내고 있다”며, 반도체와 의약품은 그 이익률이 더 높기 때문에 더 높은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반도체에 대해서는 최대 100%의 관세, 의약품에 대해서는 150~250%의 관세를 부여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EU와 일본이 각각 9500억 달러, 6500억 달러를 미국에 관세로 납부하고 있으며, 자신이 집권하기 전까지는 그들이 단 한 푼도 내지 않았던 점을 부각시켰다. 그는 연방대법원에서 진행 중인 관세 소송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법률 전문가들이 모두 우리가 승리했다고 말하지만 지켜봐야 한다”면서 대법원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승리한다면,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될 것이며, 국민들의 부채를 줄이고 다른 나라들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틱톡 매각과 관련된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재확인했다. 그는 “중국과 합의에 도달했고, 금요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해 모든 것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하며,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인수하고자 하는 “상당히 큰 기업들이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 영국을 국빈 방문하며, 이는 그의 재임 기간 중 두 번째 방문으로, 미국 대통령이 영국을 두 번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이 일정에는 찰스 3세 국왕 및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회담이 포함되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