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발언에 달러 약세,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면서 중앙은행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달러화의 가치는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안전 자산으로 알려진 금의 시세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현지시간) 기준으로 미국 동부시간 오후 3시 27분에 ICE 선물거래소에서 발표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인덱스는 98.29를 기록하며, 전 거래일 대비 1.1% 하락했다. 장중 한때 이 지수는 97.9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며, 이는 지난 2022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달러 약세는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으로 간주하는 통화에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스위스 프랑에 대한 달러화 가치는 0.804달러로 떨어져, 지난 2015년 1월 이후 약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준 공격’은 월가의 불안을 부추기고 있으며, 유럽 일부 지역의 증권시장이 부활절로 인해 휴장하면서 거래량이 줄어든 것도 이러한 영향을 더했다. 이와 같은 시장 분위기 속에서 금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오후 3시 45분 기준으로 온스당 3428.39달러에 거래되며 전 거래일보다 3.03% 상승했다. 금 시세는 장중 동안 3430달러선을 넘어섰고, 이로써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미스터 투 레이트’라는 칭호를 받고 있는 그는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라며 연준 의장을 겨냥한 비난을 가했다. 그는 또한 지난주에는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파월 의장은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주장해 월가의 불안감을 더욱 자극했다.

이와 같은 경과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대비해 안전 자산을 찾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과 관련된 정치적 발언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앞으로의 금리 결정과 경제 전략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