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서명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인 ‘GENIUS 법안’이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산업에 제도권 편입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에 대해 리플(XRP) 지지자이자 변호사인 존 디튼(John Deaton)은 유에스디시(USDC)를 발행하는 서클, 아르엘유에스디(RLUSD)를 발행하는 리플, 그리고 이더리움(ETH)이 주요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디튼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서 현재 다양한 사업자들이 이번 입법으로 인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가장 큰 승자는 이더리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 조셉 루빈(Joseph Lubin)과 펀드스트랫(Fundstrat)의 노력을 주목하며 이더리움이 미국 내 주요 블록체인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조짐이 엿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GENIUS 법안은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는 최초의 포괄적 연방법으로, 발행사는 모든 토큰을 실물화폐 및 미 국채와 같은 안전 자산으로 1:1로 뒷받침해야 하며, 연방 허가를 받은 은행, 신용조합, 비은행 금융기관만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법안은 정기적인 감사, 자금세탁방지(AML), 테러자금조달방지(CFT) 의무 이행을 요구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체계적인 제도권으로의 편입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긍정적인 규제 환경의 조성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 가격은 단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7월 고용 지표가 시장 기대치를 밑돌며 위험 회피 심리가 확산되었고, 이로 인해 이더리움은 최근 주말 동안 8% 가까이 급락했다. 비트코인(BTC) 또한 약 4% 하락하며 112,158달러(약 1억 5,581만 원)로 내려갔으며,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은 약세장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노무라 산하의 디지털자산 분석부서인 레이저디지털(Razer Digital)은 이번 규제와 가격 하락이 겹친 이유에 대해 “단기적인 충격과 장기적인 제도화 신호가 맞물리며 시장이 새롭게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평가했다. 또한, 테더(Tether)의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권 내 신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암시한 움직임이 이러한 법안의 파급력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결론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제도권과 융합될수록 이더리움은 더 많은 핵심 기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이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