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수입 반도체에 대해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로, 이번 정책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한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는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대미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그는 “(미국 외에서 생산되는) 반도체에 대해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 내에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한 기업은 관세에서 면제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생산 중이거나 생산을 약속한 기업들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사이좋게 말한 후에 마음이 바뀌면 누적된 금액을 청구하겠다는 강한 경고를 했다. 이는 향후 미국 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자생적 발전을 촉진하려는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조치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최근 한미 무역 합의에서 반도체 관세에 대한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지만, 실제 적용될 세율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는 한국 대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전이 될 것이다.
또한 애플은 이날 삼성과 협력하여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혁신적인 차세대 칩 제조 기술을 개발 중이라는 발표를 했다. 이는 애플이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구성하려는 비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기술 협력을 통해 미국 내 첨단 제조 역량을 높이려는 애플의 의지가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부과 예고는 한국을 비롯한 수출국들에게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즉각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향후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