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스위스에 39% 관세 부과 예고…스위스 정부 대응 모색 및 캐나다도 대화 시도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위스 제품에 대해 39%의 고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스위스 정부는 즉각적으로 기존의 협상안을 수정할 뜻을 밝히며 한 발 물러섰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과의 무역 합의에 실패한 국가들이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나타나는 공통적인 대응책으로 평가된다.

스위스 정부의 기 파르믈랭 경제장관은 최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는 4일 열리는 연방 내각 특별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내린 배경을 명확히 이해해야 하며, 그 이후에 우리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르믈랭 장관은 “시간이 촉박해 7일 상호관세 발효일까지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미국에 선의를 보이고 기존 제안을 수정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추가적인 카드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의 구매 확대와 스위스 기업의 미국 투자를 통해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는 지난달 31일 이루어졌으며, 이는 스위스의 시계, 제약품, 기계류 제품에 대해 적용될 예정이다. 지난 4월 제시된 31%에서 8%포인트 인상된 수치로, 스위스가 미국과의 대무역 적자 해소에 별다른 노력을 보이지 않자 트럼프 대통령이 격분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파르믈랭 장관은 양국 정상 간 통화가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하면서도, 단순한 언쟁이 아닌 서로 다른 관점에서 시작된 협상임을 언급했다.

스위스와 달리 캐나다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막판 협상에 돌입할 가능성이 보인다. 캐나다의 무역 협상 책임자인 도미닉 르블랑 장관은 CBS 방송에 출연해 “조만간 마크 카니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대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부 관세를 낮추고 투자 환경을 확정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 8월 1일 캐나다에 대한 보복 관세 문제를 이유로 기존 25%에서 35%로 관세를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적용 대상 품목에 대해서는 면세 혜택이 유지되어 실질적인 관세율은 여전히 주요 교역국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남아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USMCA의 면세 혜택을 감안할 때 실효 관세율이 약 5% 수준이며, 최근 관세 인상 이후에도 6~7%에 머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마크 카니 총리는 이번 관세 인상에 대해 “실망스럽지만 통제 가능한 사안에 집중하여 협상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은 양국 간의 무역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으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향후 스위스와 캐나다가 각각 어떤 전략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