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 대한 추진설을 강력히 반박하며 이를 ‘가짜뉴스’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며 “내가 중국의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나는 그 어떤 것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명확히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에 갈 가능성은 있지만, 이는 시 주석의 초청에 따른 것일 것이며, 만약 초청이 없다면 관심이 없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과의 회담 중 기자의 질문에 “아마도 가까운 미래에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비친 바 있다. 이는 최근 언론 보도와도 연결된다. 블룸버그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오는 10월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만나게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또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및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후,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과의 첫 대면 회담에서 양측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미·중 정상회담의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현재의 정치적 상황과 외교적 긴장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발언을 통해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발언은 그의 정치적 입지와 대중의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전 세계의 정치 지형 변화와 대국간의 외교 관계에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미·중 간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단순한 외교적 의사소통을 넘어, 그의 정치적 전략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정학적 상황에도 많은 함의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