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암호화폐 기업들이 금융 시장에 진입하는 데 따른 장벽을 허물기 위한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행정명령의 주요 내용은 암호화폐와의 거래를 차단하거나 제재하는 은행에 대해 금전적 벌금 및 기타 징계 조치를 부과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오랫동안 전통 금융 시스템에서 배제되어 있던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오랜 시간 이어져 온 불합리한 차별을 바로잡으려는 목적에서 추진되고 있다. 현재 미국에는 일부 은행이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서비스 및 핀테크 회사의 계좌 개설이나 자금 이체를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법정 화폐에서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이 위험에 처해 있어, 이로 인해 실질적인 금융 접근이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미국을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허브로 만들고자 하는 폭넓은 전략의 일환이다. 올 한 해 동안 트럼프 행정부는 암호화폐 등록, 수탁, 거래 및 기록 관리와 관련된 정책을 구체화하면서 관련 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규제를 간소화하는 데 주력해왔다. 이러한 흐름은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고 소비자의 접근성을 개선하는 환경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행정명령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낸스의 창립자 창펑 자오도 이번 방안이 미국의 은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금융 생태계 변화도 이끌어낼 것이라며, “과거에는 미국의 은행들이 암호화폐 구매와 관련된 거래를 차단했지만, 이번 조치로 글로벌 금융 진입 장벽이 완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행정명령이 미국 은행들이 암호화폐 산업을 간접적으로 배제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한 대응 조치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제미니의 공동 창립자 타일러 윙클보스는 JP모건이 핀테크 기업에 고객 금융 데이터 접근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한 것을 비판하며, “이는 소비자의 금융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제이미 다이먼과 그의 주변 인사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하는 ‘혁신 중심의 암호화폐 국가’ 조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업계의 단합을 강조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조치가 실제 발효될 경우 암호화폐 산업과 전통 금융 간의 끊겼던 연결 고리가 다시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는 미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려는 확고한 방향성을 보여주는 만큼 실질적인 정책 변화의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