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암호화폐 사업, 실질적 유동성 저조와 수요 부족으로 위기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주도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초기의 과열 이후, 실질적인 거래량과 유동성 확보에 실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 데이터 기업 카이코 리서치(Kaiko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가족의 암호화폐 제국은 화려한 마케팅과는 달리 실체 없는 자산 구조와 취약한 시장 반응으로 고전하고 있다.

트럼프 가족은 2024년 10월, 디파이 프로젝트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을 출범함으로써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WLFI 토큰의 사전 판매는 목표에 크게 미달해, 100억 개의 토큰 중 약 6억 5천만 개만 유통되며 약 1천만 달러의 자금만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 플랫폼의 대부분의 기능 또한 여전히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다.

트럼프는 이후 2025년 1월, 두 번째 임기 개시 직전에 새로운 밈코인인 ‘트럼프 코인'(Trump Coin)을 시장에 출시하며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았다. 초기에는 코인베이스(Coinbase) 등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을 예고하며 열광적인 반응을 얻어 일시적으로 가격이 72달러까지 급등했고, 취임 주말 동안 거래량은 150억 달러를 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 가격과 거래량은 급락해 현재 일일 거래량은 10억 달러 미만으로 하락했다. 카이코 리서치는 트럼프 코인이 초기의 과도한 기대를 바탕으로 수요를 창출하는 데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2025년 8월에는 WLFI 토큰이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되며 잠금 해제가 되었지만 반응은 미미했다. 상장 이후 몇몇 유동성 공급자들이 초기 시장에 진입했으나 지속적으로 유동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특히 10월 10일 발생한 매도 압박 상황에서는 거래량이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이 심각하게 고갈가는 문제를 겪었다. 이는 여러 자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WLFI의 경우 시장 조성자의 유입 부족으로 인해 회복이 더딘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부각된다.

그러나 트럼프 암호화폐 포트폴리오 중 유일하게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 자산은 스테이블코인 USD1이다. 카이코 리서치에 따르면, USD1은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과 거래소 불리시(Bullish)에 상장된 이후 거래량이 증가하였으며, 현재 전체 시장 유동성의 약 60%가 USD1에 집중되고 있다. 다만, USDC와 USDT 같은 기존의 경쟁 스테이블코인들과 비교했을 때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트럼프 가족의 암호화폐 사업 전반은 비유동성과 내실 부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밈코인은 단기적인 가격 상승을 기록했으나, 이후 급락세를 보여주었고, WLFI는 유통 범위와 수요 확장에서 모두 실망스러운 성과를 보이고 있다. 시장 조성자와 거래소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한 가운데, 대부분의 자산들은 낮은 거래 깊이와 제한된 유통 구조, 그리고 내재 가치 부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카이코 리서치는 “거래량과 유동성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완성도, 시장 통합, 그리고 기관급 시장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트럼프의 암호화폐 트렌드는 실상 매우 제한적이고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이번 보고서는 이러한 구조적 한계가 자산의 지속가능성 및 유기적 성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