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03년 고(故) 제프리 엡스타인의 50번째 생일에 보낸 외설적 편지가 공개되면서 그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 자신이 그림을 잘 그리지 않는다며 해당 편지의 존재를 부인해왔고, 이로 인해 그의 주장에 대한 신뢰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미국 민주당은 8일 현지 시간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엡스타인에게 보낸 편지를 공개하며, 이 편지가 엡스타인의 생일책에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공개된 편지에는 여성의 나체를 형상화한 윤곽선 위에 ‘제프리’와 ‘도널드’가 대화하는 문구가 적혀 있으며, “생일 축하해, 하루하루가 또 다른 멋진 비밀이 되길”이라는 메시지로 마무리된다. 편지 하단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Donald’라는 이름으로 서명하였고, 이 서명은 그의 전형적인 필체와 유사하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뒤따르고 있다.
이번 편지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이 이전에 발표한 내용과 상반된다. 그는 자신의 편지가 아니라는 주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월스트리트 저널을 상대로 100억 달러 규모의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엡스타인과 관련된 의혹에 대해 어떤 메모에도 서명하거나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편지의 나체 묘사에 관해 “나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아니다”라며 “특히 여성 그리는 것은 절대 하지 않는다”고 열변을 토한 바 있다. 그러나 엡스타인 관련 수사 기록이 담긴 ‘엡스타인 파일’에는 그의 이름이 여러 번 등장하며, 팸 본디 법무장관이 해당 내용을 이미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이 점을 두고 백악관은 “가짜뉴스”라며 일축하였다.
그러나 이번 공개된 편지 자체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엡스타인 파일에 등장했다는 주장이나 그가 엡스타인의 고객 목록에 포함되었다는 의혹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법무부가 최근 의회의 요구에 따라 공개한 엡스타인 파일은 대부분 알려진 내용에 국한되어 실체적 진실 규명을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엡스타인의 공범으로 수감 중인 길레인 맥스웰은 생일책 작업 당시 어떤 이름들이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고 법무부에 진술했다. WSJ에 따르면, 이 생일책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등 20명의 이름이 ‘친구들’ 항목에 기재되어 있다.
결국, 이번 편지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과 레이저처럼 대립하고 있는 정치 환경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앞으로의 여론이 어떻게 형성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