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외국 기업 대미 투자 유도 위해 비자 제도 개선 시사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대미 투자를 고려 중인 외국 기업들이 자국의 전문가를 미국에 유입시켜 미국인들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훈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비자 제도 개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할 수 있는 의욕을 꺾거나 두려움을 주고 싶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최근 미국 이민 당국의 조지아주 현대차 및 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에 대한 급습과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대규모 구금 사건으로 인해 불거진 대미 투자 위축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운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서 “복잡한 제품과 기계들을 제조하는 외국 기업들은 일정 기간 동안 미국 국민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를 데려와야 하며, 이러한 과정이 없으면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반도체, 컴퓨터, 선박 및 기차 등 다양한 첨단 제조 산업을 언급하며 우리는 다른 나라로부터 배워야 할 것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는 과거 미국이 조선업에서 하루에 한 척의 배를 건조했지만 현재는 연간 한 척도 힘들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도록 유도하며, 그들의 전문 인력이 미국에 안정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4일, 미 이민 당국의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근로자 317명의 불법 체류자로 분류된 사건은 대미 투자의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은 8일 만에 귀국했지만, 외국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위한 비자 발급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그의 경제 정책과 이민 정책 간의 충돌을 해소하려는 시도로도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기업과 그들의 직원들을 환영하며, 그들에게서 배운 후 머지않아 그들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했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대만 등 주요 대미 투자국에서의 우려를 완화하려는 의도도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한미 양국은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하여 비자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