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러시아를 ‘종이호랑이’라 지칭하며 우크라이나의 영토 회복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는 러시아가 심각한 재정적자와 석유수출 감소로 경제적 위기에 처해 있다는 평가에 기반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유엔 총회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담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 같은 입장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진정한 군사 강국이라면 일주일도 걸리지 않고 이 전쟁을 끝내야 했어야 한다”며 “이런 상황은 러시아를 ‘종이호랑이’처럼 보이게 한다. 시간과 인내, 그리고 유럽, 특히 NATO의 재정적 지원이 있다면 우크라이나가 원래의 국경선을 되찾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는 과거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에 영토 포기를 종용하며 친러 성향을 보였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입장 변화로, 최근의 러시아 경제 위기가 그 배경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지속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앞으로 5년 연속으로 재정적자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특히 올해 러시아 재정적자는 약 63조3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에도 76조9100억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재정적자와 석유 수출 감소는 러시아의 전쟁 지속 능력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크라이나의 공습으로 인해 러시아의 정유량은 눈에 띄게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대외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러시아의 정유 생산량은 한 달 전보다 90만 톤 이상 줄어든 약 550만 톤으로, 이는 러시아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으며, 대러 제재가 장기화됨에 따라 기업 수 또한 감소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변화가 실제로 러시아와의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전문가들은 이러한 태도 변화가 단순히 러시아의 상황 변화에 대한 반응일 수 있으며, 실제로 미국의 군사지원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트럼프 정부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 하에서 승인된 무기 지원안을 실행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실질적인 대러 제재 조치는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변화된 입장은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의 영토 회복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발언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원의 형태나 규모가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