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도에 러시아산 석유 수입에 25% 추가 관세 부과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할 경우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인도와의 무역 협상이 예상치 못한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인도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동시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도 압박을 가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번 추가 관세는 향후 21일 이내에 발효되며, 결과적으로 인도에 부과되는 총 관세는 50%에 달하게 된다. 이는 미국이 인도에 대해 상호관세 25%를 포함한 수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의 배경에 대해 인도 정부가 현재 러시아산 석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관세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전에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언급하며, 이 구매가 공적 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 4일 SNS를 통해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를 대량 구매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번 관세 부과는 미국과 인도 간의 무역 협상이 예상과 다르게 입장 차이를 보이며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협상 진행을 촉구하기 위한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하는 국가들에 대한 ‘2차 관세’ 부과 가능성도 언급했다.

아울러, 이날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가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을 진행했다. 이 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히 요구하는 휴전 협상의 메시지가 전달됐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했던 휴전 협상 시한은 당초 9월 2일에서 오는 8일로 앞당겨졌다.

이와 같은 조치는 러시아의 전쟁 자금을 차단하려는 전략과 함께, 국제 사회에서 인도의 공세적 자세에 대한 경고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의 반응과 향후 변화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