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증 발생 위험을 높인다고 주장한 가운데, 그 주장의 근거로 삼은 전문가는 과거 법정에서 신뢰하지 못할 증언을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23년 10월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타이레놀의 주요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증 유발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며 하버드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 학장인 안드레아 바카렐리의 의견을 인용했다.
바카렐리 학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 간의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 46건을 분석하여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신경 발달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임신부는 타이레놀을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데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 당시 바카렐리 학장이 전문가로서의 권위를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바카렐리는 2023년 임신 중 타이레놀을 복용한 후 자녀가 자폐증이나 주의력결핍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가족이 제기한 소송에서 원고 측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러나 재판에서 판사는 “원고의 주장에는 신뢰할만한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며 소송을 기각했다. 특히 바카렐리의 증언에 대해서는 “그의 보고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불완전하고 편향적이며 때때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판사는 바카렐리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강조하면서도 그와 반대되는 결과는 축소한 점을 지적하고, 그의 신뢰성을 부정했다.
타이레놀이 자폐아 출산 확률을 높인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 이후, 여러 의학단체에서 이 주장이 과학적 근거 없이 임신부들에게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복잡한 의학적 이슈에 대한 결론을 너무 쉽게 내리는 것이 위험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임신 중 타이레놀을 복용하고자 하는 여성들은 혼란 속에서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증 간의 연관성 주장에 대한 검토와 과학적 근거의 철저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가 과연 임산부와 자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