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및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중요한 회담을 앞두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분석된다. 이번 회담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종료 가능성을 논의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외교적 결과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주말 동안 비트코인은 11만 7,500달러(약 1억 6,333만 원) 선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으나, 19일 아침 급격히 하락하여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지난 11일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특히 지난주 초에는 12만 4,500달러(약 1억 7,306만 원)까지 상승했던 것과 비교해 상당한 하락을 기록한 것이다. 이 하락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초과하는 등 경제 지표가 악화되면서 시작되었고, 이후 지지선이 연이어 붕괴되며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포지션 청산이 일어나면서 추가적인 하락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더리움(ETH)의 경우도 4.5% 하락하여 4,300달러(약 597만 원) 이하로 떨어졌으며,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던 XRP는 3.00달러(약 417만 원) 아래로 추락했다. 솔라나(SOL),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수이(SUI), 에테나(ENA), 니어프로토콜(NEAR), 멘틀(MNT) 등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동시에 하락세를 나타내며 시장에서 매도 압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체인링크(LINK)와 모네로(XMR)는 소폭 상승하며 귀중한 예외를 보였다.
트레이딩 플랫폼인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전체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000억 달러(약 139조 원)가 증발하여 현재 3조 9,600억 달러(약 5,504조 원) 수준이다.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약 58%로 유지되고 있지만, 이는 반드시 강세 전환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트럼프-젤렌스키 회담의 외교적 결과가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회담에서 의미 있는 휴전 논의나 전쟁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면 일부 투자자들은 안전 자산으로 돌아설 수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반대로 협상이 실패한다면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며 추가적인 안전 회피 매도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이번 급락은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암호화폐 시장의 민감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고 있다. 향후 시장 Participants들은 회담의 결과와 그 여파에 주목하며 방향성을 탐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적인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때임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