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사 쿡 미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해임한 이후, Fed 이사회의 과반수를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이는 금리 인하 요구를 넘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평가를 초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우리는 매우 곧 과반수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어서 “과반수를 확보한다면 주택시장이 반전될 것이고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주요 문제로 높은 금리를 지적하며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Fed 이사회는 의장 1명, 부의장 2명, 이사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당연직 위원으로 금리 결정의 투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미셸 보먼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는 곧 Fed 이사회에서의 트럼프의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조기 사임한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 자리에는 자신의 ‘경제 책사’로 알려진 스티븐 미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명했고, 이를 통해 Fed 이사회에서 ‘친트럼프’ 인사를 4명으로 늘릴 수 있다는 계산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실제로 이루어지면, 금리 결정 투표를 가진 12명 중에서 Fed 이사회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쿡 이사는 주택담보대출 관련 의혹으로 해임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는 법적 대응을 예고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쿡 이사의 해임 통보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 소셜에 올리며, 이를 공식적으로 알렸다. 이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금융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가 관철되기 위해 Fed 재편이 시도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의 이 같은 행보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정치권에서도 이러한 ‘중앙은행 흔들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Fed의 정책 결정 과정에 불필요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이 향후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신중히 봐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선 캠페인의 일환으로 여겨지는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경제와 금융 정책의 방향성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